# 세줄요약 #
1. 애플리케이션은 파일을 읽고 쓰기 위해 운영체제에게 API 함수로 파일처리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반환받는다.
2. 일반적으로 파일을 읽고 쓰는 과정은 열[open()] -> 쓰기[.write()]/읽기[.read()] -> 닫기[close()]로 구성되는데 자원 누수를 막기 위해 마지막에 파일 '닫기'를 잊지말고 해줘야 한다("with~ as~" 문을 사용하면 close() 함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파일이 항상 닫힘).
3. 문자집합은 기호로 문자를 컴퓨터에서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알파벳 문자집합인 ASCII를 시작으로 현재는 전세계 모든 언어의 문자집합인 Unicode가 제정되어 사용 중이다(이러한 문자집합을 부호화하는 것이 Encoding(인코딩)이다).
#code block#
file = open('test.txt', 'w')
file.write('hello')
file.close()
file = open('test.txt', 'r')
str = file.read()
print(str)
file.close()
with open('test.txt', 'r') as file:
str = file.read()
print(str)
#file.close()
hello hello |
* 출처: 뇌를 자극하는 파이썬3 / 박상현 / 한빛미디어
728x90
728x90
'교재 리뷰 > 뇌를 자극하는 파이썬3'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를 자극하는 파이썬3 - 10. 오류를 어떻게 다뤄야 할까 (0) | 2019.11.11 |
---|---|
뇌를 자극하는 파이썬3 - 9. 클래스 (0) | 2019.11.11 |
뇌를 자극하는 파이썬3 - 8. 모듈과 패키지 (0) | 2019.10.25 |
뇌를 자극하는 파이썬3 - 7. 함수로 코드 간추리기 (0) | 2019.10.22 |
뇌를 자극하는 파이썬3 - 6. 프로그램의 흐름 제어하기 (0) | 2019.10.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