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줄요약 #
1. 파이썬에서 예외(Exception)는 문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코드를 실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의미한다(ex. Input 값이 잘못된 경우).
2. 예외처리는 "try~ except~" 구문을 이용하여, try 절 안에는 문제가 없는 정상적인 경우에 실행할 코드를, except 절에는 문제가 있을 경우 뒤처리하는 코드를 배치한다.
3. 파이썬에서 발생하는 대다수의 예외들은 "Exception" 클래스 안에 정의되어 있으므로 as문을 사용하여 Exception을 객체(Instance)로 받으면 거의 모든 예외처리가 가능하다(Exception 클래스 안에 없는 예외형식은 raise 문을 사용하여 매개변수로 넘기면 된다).
#code block#
my_list = [1, 2, 3]
try:
print("첨자를 입력하세요:")
index = int(input())
print("my_list[{0}]: {1}".format(index, my_list[index]))
except Exception as err:
print("예외가 발생했습니다 ({0})".format(err))
else:
print("리스트의 요소 출력에 성공했습니다.")
첨자를 입력하세요: 1 my_list[1]: 2 리스트의 요소 출력에 성공했습니다. |
첨자를 입력하세요: 5 예외가 발생했습니다 (list index out of range) |
* 출처: 뇌를 자극하는 파이썬3/박삼현/한빛미디어
728x90
728x90
'교재 리뷰 > 뇌를 자극하는 파이썬3'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를 자극하는 파이썬3 - 11. 파일에 데이터 읽고 쓰기 (0) | 2019.11.11 |
---|---|
뇌를 자극하는 파이썬3 - 9. 클래스 (0) | 2019.11.11 |
뇌를 자극하는 파이썬3 - 8. 모듈과 패키지 (0) | 2019.10.25 |
뇌를 자극하는 파이썬3 - 7. 함수로 코드 간추리기 (0) | 2019.10.22 |
뇌를 자극하는 파이썬3 - 6. 프로그램의 흐름 제어하기 (0) | 2019.10.22 |
댓글